하버드 대학교의 로버트 푸트남 교수가 'Bowling Alone: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라는 논문에서 적었던 것처럼, 사회적 자본은 개인의 경제적 성공과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에 있습니다(Putnam, R. 2000). 그의 연구에 따르면, 커뮤니티의 끈끈한 사회적 자본은 개인이 돈을 벌고 경제적인 성공을 거둘 가능성을 높인다고 합니다. 이는 돈벌이라는 주제를 둘러싼 논의가 단순한 '개인 vs 시장'의 이진 대립으로 귀결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지요.
이런 측면에서, 돈벌이의 로직은 오늘날의 시장 경제 체제 안에서 복잡한 여러 가지 레벨과 차원에서 이루어집니다. 푸트남의 논문에서 소개된 사회적 자본의 개념을 고려하면, 돈벌이는 결국 그 네트워크와 관계 속에서 형성됩니다. 즉, 돈을 벌기 위해선 단순히 자신의 노동력이나 지식, 능력을 시장에 매도하는 것 외에도, 사회적 네트워크와 그 안의 신뢰성 등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사회적 자본은 결국 개인의 가치관에 뿌리를 둔다고 할 수 있습니다. 자신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가 무엇이냐에 따라, 그에 맞는 사회적 네트워크를 구축하게 되고, 그로 인해 돈을 벌 수 있는 방법과 경로가 달라집니다. 예컨대, 환경을 중시한다면 그에 맞는 산업이나 분야에서 일하려 할 것이며, 이로 인해 다양한 경제적 기회가 생길 것입니다.
하지만 돈벌이의 이러한 다차원적 측면을 무시하고 단순한 수익 추구에만 몰입하게 되면, 그림자가 따르게 됩니다. 푸트남의 논문에서도 지적한 것처럼, 사회적 자본이 약해지면 그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은 불가피합니다. 따라서, 돈을 벌면서도 그 과정에서 어떠한 가치를 실현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 가치가 사회적으로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를 함께 고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푸트남의 논문에서 나오는 다양한 사례와 데이터를 살펴보면,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이 어떻게 개인의 경제적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논문에서는 사회적 자본이 높은 커뮤니티에서는 경제적 성과가 더 좋았으며, 이는 다양한 수준에서 확인되었습니다.